동문특별강좌
김동언-올레길, 돌담길
▲김동언(모교 교수)
제주도 올레길이 인기를 끌고 있다. ‘올레’는 ‘집으로 들어가는 좁은 골목길’을 뜻하는 제주도 방언이다. 일출봉과 우도로 유명한 1코스에서 울창한 숲이 우거진 저지오름을 거치는 13코스까지, 현재 개방된 길이가 250㎞에 이른다.
두어 해 전, 처음 이 길을 다듬어 낼 때 3000명에 불과했던 탐방객이 올해는 벌써 12만명을 넘어섰다고 한다. 올레길 위에서는 구멍 숭숭 뚫린 현무암을 쌓아 만든 구불구불한 현무암 돌담길도 만날 수 있다.
제주도에 올레길이 있다면 지리산에는 둘레길이 있다. 지리산 둘레길은 지리산 주민들과 함께 지리산 보전운동을 펼쳐온 ‘지리산생명연대’가 2007년 설립한 ‘사단법인 숲길’에서 낸 길이다. 지리산 둘레의 옛길, 고갯길, 숲길, 강변길, 논둑길, 농로길, 마을길 등을 둥글게 이어서 2011년까지 총 300㎞에 이르는 길을 완성한다고 한다.
현재는 주천~운봉~인월~금계~동강~수철 등을 잇는 다섯 개 코스가 마련돼 있다. ‘숲길’은 지리산길을 ‘어머니의 산, 지리산 둘레를 잇는 길에서 만나는 자연과 마을, 역사와 문화의 의미를 다시 찾아내 잇고 보듬는 길’로 정의하면서, 지리산길을 통해 ‘속도의 문화를 느림과 성찰의 문화로, 위로만 오르는 수직의 문화를 눈높이 맞추는 수평의 문화’로 전환하겠다는 의지를 담아내고 있다.
한편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난 15일 “300억원의 예산을 들여 북한산국립공원 자락 63.1㎞를 잇는 둘레길을 2012년까지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강원도 지방자치단체들도 ‘강원 올레길’ 만들기에 나섰다. 천혜의 자연생태환경을 간직하고 있는 비무장지대길, 강변길, 호수길, 산촌길 등을 지역문화와 연계시켜 제주도 올레길과 같은 관광 명품으로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반가운 일이다.
필자는 지리산 둘레길과 제주도 올레길을 걸어 보았다. 모두 아름다운 기억으로 남아 있다. 제주도 올레길에서 만난 현무암 돌담길은 특히나 다정했고 인상적이었다. 돌이 많기로 유명한 제주도뿐만 아니라 어디서든 발길에 차일 정도로 흔한 게 바로 ‘돌’이었다.
예부터 재물에 대한 욕심을 버리고 청렴하게 살라고 이르며 ‘황금 보기를 돌처럼 하라.’라고 했으니 이 세상에 돌처럼 하찮고 흔한 것이 없음을 뜻한 말일 터다. 지금이야 콘크리트길이 이 땅을 온통 뒤덮어 옛말이 무색해 보이기도 한다.
그렇지만 그 흔한 돌로 쌓아 놓은 제주도의 돌담은 분명 쓸모없고 하찮은 것이 아니다. 돌담은 있는 그대로 생긴 돌들을 넉넉하게 품어 주고 있다. 똑같은 크기로 재단해서 깎고 다듬지 않아도 상관없다.
큰 돌도 작은 돌도, 둥근 돌과 모난 돌도 모두 돌담 안에서는 제각각 한몫을 하고 있다. 작은 돌과 큰 돌이 무질서하게 어지러이 겹쳐 있는 것 같지만, 서로 다른 크기와 모양새들은 오히려 서로를 잘 맞물리게 지탱해 준다. 모난 돌끼리 부대끼고 짐이 되면서도 손을 꼭 잡는다.
돌담은 자로 잰 듯 반듯한 모양새를 고집하지 않는다. 굽이굽이 곡선이고 자유롭다. 주변의 여러 환경 조건과 땅의 모양새에 맞추고 스며들어 무리하지 않은 완만한 곡선으로 서 있다. 그러고는 넉넉한 어머니의 품, 대지에 안겨 아름다운 풍경이 된다. 햇발은 돌담에 속삭이고, 바람은 돌담을 어루만진다. 씨가 날아와 꽃이 피고, 세월의 무게는 이끼가 된다.
오랜 세월, 돌담을 따라 흘러 지나간 수많은 사람들의 이야기가 돌 틈에 그대로 남아 전설이 된다. 이 이야기가 사람의 길로 이어진다. 이 길은 이웃과 세계로 나아가는 통로이다. 돌담은 사람들이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를 말없이 가르쳐주고 있다. 제주도 올레길, 돌담길에서 그렇게 배운다.
김동언 수원화성국제연극제 기획감독·경희대 교수
[2009. 9. 17 서울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