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특별강좌
이형래-[굿모닝 닥터] 고환은 왜 몸 밖에 있나
▲이형래(의학81/ 35회, 동서신의학병원 비뇨기과 교수, 총동문회 이사)
외래에서 16개월 된 사내 아이를 만났다. 아이 엄마는 어제 아들 목욕을 시키다 고환이 만져지지 않아 깜짝 놀랐다고 했다. 아이에게 혹시 문제가 있는 건 아닌지 무척 걱정했다고 했다. 아이의 상태를 확인해 보니 ‘잠복고환’이었다. 어린 아이의 고환이 만져지지 않는 경우라면 잠복고환일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태아가 태어나기 전에 뱃속에 있던 고환이 점차 내려와 태어날 땐 음낭 속에 자리를 잡게 된다. 이 과정이 불완전한 것이 잠복고환이다. 신생아의 고환이 음낭까지 완전히 내려오지 못하고 복강과 음낭 상부 사이에 멈춘 것이다.
진료한 아이의 경우, 검사 결과 다행히 음낭 바로 위에 고환이 있었고, 크기도 정상이었다. 바로 고환을 내려 주는 수술을 시행해 한달 후 제 자리로 돌려 놓을 수 있었다.
잠복고환은 정상적으로 태어나는 남아의 3% 정도에서 발견된다. 보통 잠복고환은 생후 3∼6개월에 자연적으로 내려오고, 이후 1세까지 지켜 보면 0.8% 정도에만 남아 있다. 문제는 1세가 지나면 이 고환이 자연적으로 잘 내려오지 않는다는 것. 제자리를 찾지 못한 잠복고환을 그대로 방치하면 고환 발육에 영향을 미친다. 때문에 수술로 교정하는 게 일반적이다.
잠복고환을 방치하면 이런저런 합병증이 나타난다. 겉으로는 별 증상이 없으나 몸 안에서는 탈장과 고환암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고 때로는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고환은 정자를 만들고, 남성호르몬을 생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상적인 고환은 몸 밖에 자리 잡아 체온보다 1~2도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데 이는 체온과 같은 온도에 노출되면 고환이 본래의 기능을 잃고 정자를 잘 생산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사소한 듯한 고환의 위치가 이렇게 중요하니 그 역할이야 두말할 필요가 없겠다.
이형래 동서신의학병원 비뇨기과 교수
[2009. 7. 6 서울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