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성이-어떤 대통령으로 남길 것인가


동문특별강좌 윤성이-어떤 대통령으로 남길 것인가

작성일 2009-08-21
▲윤성이(모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김대중 전 대통령, 그는 분명 현대 정치사에 한 획을 그은 불세출의 인물이었다. 그의 이름을 거명하지 않고서는 해방 후 한국정치를 설명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가 남긴 커다란 족적만큼이나 그의 정치인생은 고난과 역경의 연속이었다. 1963년 6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후 30년을 군사정권과 맞서 싸웠다. 그 사이 몇 차례 죽을 고비도 넘겼다. 숱한 가택연금과 투옥, 그리고 해외망명에 이르기까지 온갖 고초를 다 겪었다.

1997년 마침내 그는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네 번째 도전 만에 얻어낸 대권이었다. 1987년 야권 후보 단일화 실패와 1995년 정계은퇴 번복이라는 오점을 남기면서 성취한 그의 대통령 당선은 한국정치에서 몇 가지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우선 한국정치 역사상 처음으로 여당에서 야당으로 수평적 정권교체가 이뤄진 것이다. 1987년 직선제 쟁취로 민주화를 이뤘다고 하나 정권은 또다시 군부세력에 넘어갔고, 1992년 김영삼 대통령의 당선은 3당 합당을 통한 것이어서 진정한 의미의 정권교체는 아니었다. 김대중 대통령의 당선이 갖는 또 다른 의의는 35년간의 영남정권을 종식하고 호남정권을 출범시킨 것이다. 해방 후 첫 진보정권을 탄생시킨 것이 그 세 번째 의의다.

해방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국정치는 민주세력 대 반민주세력, 영남 대 호남, 그리고 보수세력 대 진보세력 사이의 갈등으로 점철돼 왔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대변해 왔던 민주화 세력, 호남, 그리고 진보세력, 이 세 집단 모두 정권교체 이전까지는 핍박받는 소수집단이었다. 소수세력을 대표하는 그는 항상 투쟁과 저항의 한가운데 서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의 정치역정이 고단했던 것은 당연지사였다. 민주화를 향한 그의 집념, 남북화해 협력에 대한 그의 신념은 굳건했다. 그랬기에 그는 버틸 수 있었고 뜻을 이룰 수 있었다.

한국사회 갈등의 한 축에 서 있었기에 그를 지지하고 따르는 세력이 많았으나, 그 반대편 역시 적지 않았다. 그의 정책이 모든 국민의 공감을 자아내지도 못했고, 한국 정치의 한계를 그대로 보여주어 국민들을 실망시키기도 했다. 재임기간 중 가장 아쉬운 점이 ‘동서화합’이라던 그의 고백처럼 지역주의의 담을 허물지 못했다. 한국정치의 가장 큰 병폐 가운데 하나인 패거리 정치와 측근정치의 벽도 뛰어넘지 못했다. 세 아들이 모두 정치비리에 휘말리는 상황을 막지도 못했다.

그는 우리에게 어떤 대통령으로 남을 것인가? 아니 우리는 그를 어떤 대통령으로 남길 것인가? 그가 한평생 지향한 민주주의와 민족화해에 대한 신념을 기릴 것인가, 아니면 그 사이 얼룩진 흠결을 기억할 것인가?

올해는 미국 링컨 대통령의 탄생 200주년이 되는 해라 한다. 링컨은 미국 국민들은 물론 전 세계로부터 가장 존경받는 대통령 가운데 하나이다. 그의 묘소에는 200번째 생일을 축하하는 어린 학생들의 생일카드가 장식되어 있다. 그는 과연 100점 만점의 대통령이었을까? 재임 당시 링컨은 그다지 사랑받는 대통령이 아니었다. 그의 전기를 보면 많은 과오도 저질렀다. 남북전쟁 기간 중 언론을 통제했고, 남부 연합에 동조하는 1만 8000명을 재판 없이 감옥에 가두기도 했다. 젊은 시절 사생활도 그리 깨끗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그는 노예를 해방하고 국가통합을 이룩한 최고의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있다. 수많은 흠집보다는 그가 이룬 가장 큰 업적을 기렸기 때문이다.

오랜만에 모든 정파가 입을 모아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를 애도하고 있다. 그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야 어떻든, 그가 우리 역사에 드리운 무게감은 결코 과소평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역사가 다양한 관점으로 그를 평가할 것이다. 그에 앞서 그를 어떤 대통령으로 남길 것인가는 우리 몫이다. 그의 흠집 대신 그가 지향한 가치와 이루어낸 성과를 후손들에게 들려주어야 한다. 링컨이 아닌 우리 대통령의 위인전을 남겨주고 싶기 때문이다.

윤성이 경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2009. 8. 21 서울신문]